알록달록 화창하고 설레이는 마음이 저절로 생기는 짧은 봄! 전세계에서 또렷하게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을 가지고 있는 나라 한국!
세계각국에 별이 잘보이는 성지로 유명한 곳들이 참 많은데요
하늘과 가까운 곳은 어디인지 지구에서 가장 큰 달과 아름다운 밤하늘을 볼수 있는 곳은 어디인지 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많이 찾아 봤을 겁니다.
어렸을때 별똥별이 떨어진다면 돗자리 펴고 누워서 기다리던 때가 생각이 저절로 나게 하는데요 저처럼 누군가에게는 동심을 찾게 해주고 잊어버린 꿈을 되찾게 되는 시간들이 될것 같습니다
어린이탐험대에서는 캠프뿐 아니라 도심에서는 별을 찾아 볼수 없고 바쁜 일상에서 하늘을 쳐다 볼 수 있는 기회가 적으나
우주의 신비함과 아름다운 수 많은 별을 볼 수 있는 별천지 여행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특히 겨울에는 성지인 강원도에서 스키캠프와 함께 별자리를 찾아 보고 눈에 띄는 행성들도 보는 시간들이 있는데요
하지만 별을 매일 보는건 아니지만 잘 보이는 조건들을 충족해야 만 볼수 있겠죠 ^^
하늘이 맑고, 불빛 달빛이 적어야 하며 광해가 적은 날 또한 고도가 높고 시야가 넓은 곳을 선택하는것도 중요합니다
조건들이 충족하여 좋은 스팟을 간다 해도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하늘문이 열려도 일반인이 하늘뜻을 알수 없을 수 있겠고요~
그래서 저희 어린이탐험대는 대한민국 최초로 개발한 4년과정의 체계적인 천문 프로그램을 통해 우주 속에 숨은 과학적 지식을 어린이들에게 알려주는 어린이천문대와 함께 하고 있습니다.
[Markarian's Chain]

- 촬영 일시 : 2025년 4월 28일 ~ 29일. 오후 9시 ~ 새벽 1시 쯤
- 촬영 장소 : 홍천 관측소
- 망원경 : Solomon Optics SDP71 ii
- 가대 : ZWO AM5 + PE160 연장피어 + TC40 삼각대
- 촬영카메라 : ASI 294MC PRO
- 가이드경/가이드 카메라 : Skywatcher EVOGuide 50ED / ZWO ASI120MM mini
- 필터 : Optolong UV-IR Cut
- 제어시스템 : ASIAIR PLUS + EAF(자동초점)
- 촬영노출 : gain120(온도 -10도), Light 120s*135 / Dark 120s*50 / Flat 0.41s*50 / Bias 50 / 총 노출 4시간 30분
- 보정 소프트웨어 : pixinsight, starnet2, BxT, NxT, graxpert
천문학이란?
미래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할 천문학은 지적 호기심을 충족시켜줌을 넘어, 과학기술 발전과 미래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는 원천이고 인류의 새로운 도약을 자져올 전망으로 보여주는 주역입니다
천문학을 통해 지구의 자전, 공전, 계절의 변화 등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태양, 달, 행성들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삶에 깊은 이해와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천문학은 우주의 기원과 성질을 연구함으로써 우리의 우주에 대한 지식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합니다. 우주는 끝없이 넓고 신비로운 공간이지만, 천문학을 통해 우주의 구조, 별의 탄생과 죽음, 은하계의 형성 등을 연구하면서 우주의 비밀을 풀어가고 있죠 이러한 연구는 우주의 기원과 우리의 존재 이유에 대한 깊은 이해를 제공하며 우리의 세계관을 넓히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천문학의 연구 방법과 원리는 다른 학문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며 새로운 기술과 발견을 이끌어내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우주와 지구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중요한 학문으로 우리의 삶과 미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치 있는 분야로 연구를 통해 우주의 신비를 해석하고 우리의 과거, 현재, 미래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홍천 은하수]

- 촬영 일시 : 2025년 4월 29일 새벽 2시쯤
- 촬영 장소 : 홍천 관측소
- 촬영카메라 : 갤럭시 S23
- 촬영노출 : 갤럭시 천체사진모드 12분
- 보정 소프트웨어 : pixinsight, BxT, NxT
5월 봄철에 잘 보이는 별자리는?
- 하늘의 적도 부근의 비교적 큰 별자리인 처녀자리
- 봄철 저녁 동쪽 하늘에서 볼 수있는 목동자리
- 천구의 북극 부근에 있고 북극성이 보여 북두칠성을 포함하는 곰 모양의 큰곰자리
- 서쪽의 게자리와 동쪽의 처녀자리 사이에 놓여 있는 사자자리
대표적으로 잘 보이는 별자리로 유명합니다.

놀라운 발견과 혁신!
미래의 가치를 우리 아이들이 꿈과 희망을 갖도록 보여주세요.
어린이탐험대가 함께 하겠습니다!